[우리가 몰랐던 우주] 지구로 떨어질 우주쓰레기? 한국도 청소 나선다

이성주 기자 승인 2020.07.28 16:30 의견 0
영화 '그래비티' 스틸. (자료=워너 브라더스 코리아)

[디지털머니=이성주 기자] 우주 환경 문제에 한국도 발 벗고 나설 전망이다. 정부 12개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우주 쓰레기 경감을 위한 안건을 처리했다.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2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34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개최하고 ‘우주쓰레기 경감을 위한 우주비행체 개발 및 운용 권고’ 안건을 의결 처리했다.

우주 쓰레기란 임무가 끝나거나 고장 난 인공위성을 비롯해 위성 충돌로 발생한 파편이나 로켓 부산물 등 지구 궤도를 떠도는 인공 물체를 의미한다.

■ 국제우주정거장도 긴급 기동한다? 우주 쓰레기의 위험성

우주 쓰레기 문제는 국제적으로도 심각한 환경 문제로 떠올랐다. 최대 초속 10㎞로 날아다니면서 인공위성이나 우주정거장과 충돌을 일으켜 추락 등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실제로 고도 300~400㎞에 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은 우주 쓰레기를 피하려고 여러 차례 긴급 기동을 한 적이 있다.

또한 미국 합동우주작전센터(JSpOC)에 따르면 지난 60년간 지구에는 매년 405개 우주 쓰레기가 지구로 떨어지고 있다. 우주 쓰레기 대부분은 지구로 추락하며 타 없어진다. 하지만 일부는 지상에 낙하해 인간을 위협하기도 한다. 

추적 가능한 10㎝가 넘는 크기의 우주쓰레기는 약 3만 4000개로 추산된다. 1~10㎝의 우주쓰레기는 90만 개가 넘는다. 일각에서는 350만 개가 넘는다는 추정도 내놓고 있다. 1cm 미만의 아주 작은 우주 파편은 1억 6600만 개가 지구 위를 떠다니고 있다.

■ 한국 독자적 우주 개발 역량, 권고안 마련 영향 끼쳐

정부의 이번 권고안은 2007년 유엔이 채택한 ‘우주쓰레기 경감 가이드라인’을 준용한 것이다. 국내에서 개발하는 모든 우주비행체에 적용된다.  정부가 이 같은 권고안을 마련한 건 한국이 독자적인 발사체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등 높아진 우주개발 역량을 반영한 것이다. 

권고안 주요 내용으로는 우주비행체 충돌을 예방할 수 있는 설계기준, 충돌 위험시 회피기동, 임무 종료 이후 잔존 궤도 수명인 25년을 고려한 폐기 조치 등 기술적 권고 사항을 담고 있다.

미국을 포함해 우주 선진국으로 꼽히는 20여 개 국은 우주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지키면서 우주쓰레기를 그물로 포획하거나 우주에서 위성을 수리해 수명을 연장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지난해 물리학 분야 국제학술지 ‘레이저 응용 저널’에 따르면 중국 랴오닝공과대, 중국 측량지리과학연구원 공동연구팀은 레이저추적망원경에 인공지능(AI) 알고리즘을 적용해 10㎝ 이하 우주쓰레기의 위치까지도 정확히 파악하는 방법을 개발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디지털 세상을 읽는 미디어 ⓒ디지털머니 | 재배포할 때에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