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분해해 수소와 산소를 제조하는 새로운 구조의 광전극(자료=광주과학기술원)

[디지털미디어=문영진 기자] 국내 연구팀이 고효율 수소 생산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광전극(光電極)을 개발했다.

이 광전극은 플라즈모닉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분산된 새로운 이중구조를 이루고 있어 광전류 밀도 값을 향상한 광전극이 태양에너지를 친환경 수소에너지로 변환하는 효율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광주과학기술원(총장 문승현)은 신소재공학부 이상한 교수와 김승규 통합과정생, 유이종 석사졸업생이 공동으로 수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수소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광전극이 빛을 최대한 많이 흡수해 많은 양의 전자와 정공을 발생시켜야 한다.

전자와 정공이 광전극 안에서 재결합하지 않고 빠르게 이동해 각각 물과 반응 확률을 높이게 된다.

연구 결과는 지난 5월에 학술지인 '카탈리시스 사이언스 & 테크놀로지' 온라인으로 실렸다.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