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머니=문영진 기자] 전문인력을 기반으로 한 수동분석 중심으로 운영되는 우리나라의 보안관제 체계가 인공지능(AI) 체계로 전환된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실시간으로 사이버 공격을 탐지하고 즉각 대응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개발하기로 했다고 6일 밝혔다.
 
KISTI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는 앞으로 3년 동안 '보안관제 전용 AI 기술' 개발을 추진하기로 하고 2020년에는 실용성·범용성·확장성을 확보한 기술로 완성한다는 방침이다.
 
올해는 보안관제 전용 학습·테스트 데이터 생성, 특징 추출·조합, 정규화, AI 실행·성능 검증 등을 시행한다.
 
사실상 AI기술 개발의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테스트 플랫폼이 구축되는 셈이다.
 
이를 기반으로 내년에 자체 AI기술을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 보안관제 체계에 직접 적용·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만든다.
 
KISTI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 송중석 책임연구원은 "그동안 축적한 보안관제 데이터와 경험을 최대한 살릴 것"이라며 "국내 기술로 사이버 안보 분야 AI를 내놓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