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001.png
 
[디지털머니=문영진 기자]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을 통해 1만명의 블록체인 전문인력과 100개의 전문기업을 키워내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영민)는 21일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블록체인의 초기 시장 형성과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를 통한 민간 주도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세계 각국이 블록체인 기술 개발과 함께 각종 분야에 접목을 시도하는 만큼 더 이상 블록체인 분야에서 뒤처지면 곤란하다는 판단이다.

관련 업계에서도 세계 블록체인 시장이 앞으로 5년간 10배 이상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블록체인 발전전략'은 크게 ▲초기시장 형성 ▲기술경쟁력 확보 ▲산업기반 활성화 등 3개 부문으로 나눈다. 

이를 통해 오는 2022년까지 기술수준을 90%, 전문인력 1만명, 전문기업 100개의 가시적 목표 수치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국내 블록체인 기술 수준은 주요 국가 대비 76.4% 수준으로 평가된다. 현재 국내 블록체인 전문인력 약 600명, 전문기업 30여개(이상 지난해 기준)가 있다. 

국민들이 블록체인 기술 효용을 체감하고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민간주도 블록체인 국민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블록체인으로 초·중·고교 급식 자재 유통 이력을 관리해 안전한 급식을 제공하거나 각종 유휴 포인트를 어려운 이웃에 기부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

아울러 민간 주도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스마트공장 ▲스마트팜 ▲핀테크 ▲드론 ▲미래자동차▲초연결지능화 ▲에너지신산업 등 8대 혁신성장 선도 분야에도 블록체인 기술을 우선 적용할 계획이다.

가칭 ‘블록체인 놀이터’를 운영하고 석·박사급 블록체인 전문가를 배출하는 블록체인 연구센터를 현행 1곳에서 올해 3곳으로 늘리고 연간 8억원씩 최대 6년간 지원한다.

중소기업이 블록체인 서비스를 빠르게 구현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 블록체인 플랫폼 서비스도 지원한다. 청년·예비창업자 대상 블록체인 공모전 개최 등으로 아이디어 구체화를 돕기로 했다.

‘블록체인 규제개선 연구반’도 운영한다. 예컨대 스마트계약과 민법상 일반 계약과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법적 쟁점인 청약 철회 적용 가능 여부, 거래실명제와 익명성, 제안서와 코드의 불일치 등을 검토해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규제에는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실 양환정 실장은 “블록체인은 인터넷, 스마트폰, 인공지능의 뒤를 이어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 기술이 될 것”이라며 “이번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 추진을 통해 국내산업을 혁신하고 디지털 신뢰사회를 만들어나가는 데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