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머니=박응식 기자] 이제 핀테크를 넘어 ‘테크핀’이 화두가 되고 있다. 금융(Fin)에 기술(Tech)을 더한 핀테크에서 단어 순서만 바꿨을 뿐이지만 그 뜻은 차이가 크다.
기술이 금융산업의 발전을 지원하는 시대, 즉 금융회사가 IT를 활용하는 게 핀테크였다면, 테크핀은 기술이 금융 발전을 견인하는 개념이다. 금융혁신의 주도권이 금융회사에서 IT 기업으로 넘어간 것이다.
디지털머니는 올해가 '테크핀 원년'으로 기록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테크핀 산업을 다각도로 살표보기로 한다. 이번에는 첫번째 순서로 '테크핀'이 부각되는 이유를 알아본다. [편집자 주]
테크핀(TechFin·기술 주도 금융혁신)은 기술(Technology)과 금융(Finance) 합성어다. 정보기술(IT)에 금융을 접목한 혁신을 의미한다.
'테크핀'이라는 용어는 알리바바그룹 창업자 마윈 회장이 2016년 한 세미나에서 처음 사용한 신조어로 알려져 있다. 세계 최대 이커머스 기업인 알리바바가 금융 혁신을 이끌 수 있다는 비전을 제시하려는 의도였다. 실제로 알리바바 자회사 앤트파이낸셜은 테크핀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평가된다.
테크핀이 주목받는 건 금융사의 정보기술(IT) 도입보다 IT 기업의 금융업 진출 속도가 더 빠르고, 파급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IT 기업은 금융사에 비해 고객 범위가 넓고, 갖고 있는 데이터도 많다. 게다가 자체 기술도 있어 서비스 개발비용이 금융사에 비해 적게 든다. 이 같은 강점을 활용해 금융상품을 설계하고 상용화하는 사례까지 증가하고 있다.
오정근 한국금융ICT융합학회장은 “테크핀 기업들은 세계시장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금융산업의 지형을 바꾸고 핀테크를 위협하고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빠르게 발전하는 기술을 등에 업고 전통적 금융회사가 가진 주도권을 빼앗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내에서는 특히 막대한 사용자와 기술력을 앞세워 금융업계에 도전장을 내민 네이버와 카카오가 테크핀 시대를 주도하면서 금융업계 판도를 뒤흔들 것으로 전망된다.
해외에서도 금융과는 무관해 보였던 구글이나 아마존·페이스북 같은 기술 메이저들이 기존 금융회사의 생존을 위협하는 테크핀 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금융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국 등에서는 테크핀의 대표주자인 알리바바나 텐센트가 전통 금융사의 시장지배력을 넘어선 지 오래다.
■ 데이터와 알고리즘으로 전통 금융기관과 차별화
테크핀 기업들은 우선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하고 플랫폼에서 생성된 광범위한 유저 데이터를 활용해 타 영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하는 데 능하다. 즉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플랫폼에 접속한 고객들에게 ‘금융’이라는 상품도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이 플랫폼 비즈니스의 경쟁력이다. 기존 플랫폼 서비스가 검색이나 메신저와 같이 일상생활과 밀접하다면 훨씬 유리하다. 그만큼 고객과의 접점이 넓고 접촉 빈도도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 금융상품이 기존 금융서비스와 별반 차이가 없다면 위협적이지 않을 것이다.
핀테크와 테크핀 개념 비교
테크핀 기업에 혁신성이란 고객의 숨겨진 니즈를 터치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필요한 서비스지만 기존 제도권 금융에서 제공할 수 없거나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영역을 개척하는 과정이다.
알리바바나 아마존 같은 기업들이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기반으로 단기간에 금융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었던 것은 데이터와 알고리즘에 있다. 개별 고객의 행동패턴을 분석해 그들의 금융니즈를 알아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금융솔루션을 제공한다. 이것이 전통 금융기관과 차별화된 혁신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비결이다.
■ ‘플라이휠(flywheel)’ 효과가 테크핀의 강점
디지털 생태계의 경쟁우위 원천은 ‘고객경험’이다. 고객 모멘텀이 만들어지면 자연스럽게 시장 모멘텀으로 이어져 그 기업은 성장하게 된다.
아마존의 최고경영자(CEO)인 제프 베조스가 냅킨 위에 그렸다는 ‘플라이휠(flywheel)’ 효과는 고객경험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처음에는 엄청난 추진력을 필요로 하지만 일단 가속도가 붙으면 관성으로 회전하는 구동력이 생긴다.
‘플라이휠(flywheel)’ 효과 개념도(자료=FourWeekMBA.com0
디지털 생태계에서 구동력(고객경험)이 생기면 고객 모멘텀이 만들어지고 자연스럽게 시장 모멘텀으로 이어져 그 기업은 성장하게 된다. 이처럼 알리바바를 비롯한 테크핀 기업들은 플라이휠 효과 아래 다른 경쟁자들이 쉽게 모방할 수 없는 견고한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해가고 있다.
과거 점포 네트워크를 보유한 대형 은행들이 고객에 대한 경쟁력을 가졌다면, 더 많은 데이터를 보유하고 활용하는 기업으로 성장동력이 이동하고 있다. 이제는 상품 중심의 파이프라인모델에서 벗어나 솔루션 기반의 플랫폼모델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미다.
국내 금융기관들이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는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금융회사도 디지털 금융생태계를 구축하고 지속 성장·확장해갈 수 있는 동력원을 발굴해야만 변화한 금융시대에 살아남을 수 있다
<저작권자> 디지털 세상을 읽는 미디어 ⓒ디지털머니 | 재배포할 때에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