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신정부 출범의 영향은 백신 보급률과 함께 올해 글로벌 환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전경련]
[디지털머니=김정태 기자] 올해 본격적인 백신 보급으로 지난해부터 고통받았던 코로나19의 악몽에서 극복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전 세계적으로 고조되고 있다.
미국의 대(對)중국 강경 정책 기조는 그대로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바이든 신정부는 트럼프식이 아닌 지식재산권 보호, 덤핑 방지 등의 포괄적 무역정책을 지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동맹국과의 연대를 통한 중국 견제로 미·중 갈등은 새로운 형태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세계 각국은 본격적인 경기부양 정책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러스 팬데믹(대유행)에 맞서는 글로벌 경제대책의 공통적인 테마는 그린 및 디지털 뉴딜이다.
■ [China Will Fire] 중국, 내부 역량강화 및 국가 현대화
14일 전경련과 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격화될 것으로 우려됐던 미·중 분쟁에서 중국은 와신상담 시대로의 진입을 선언했다. 미국과 장기적인 패권경쟁에 맞서 반격할 채비를 갖추고 있는 보인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 중국은 지난 40년간의 개혁개방 시대에서 코로나19를 계기로 내부 역량강화 및 국가 현대화에 초점을 맞췄다.
새로 출범하는 중국의 경제5개년계획은 크게 국내대순환과 국제대순환의 쌍순환을 핵심으로 한다. 국내대순환은 내부 자립 공급망을 건설해 미국·유럽시장 의존도를 낮추고, 반도체 등 필수기술 자립을 이룬다는 것이 골자다. 국제대순환(대외개방)은 수출에 더해 중국의 거대 내수시장을 개방하되 외국계 투자기업들의 대(對)중국 의존도를 높여 영향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시진핑 주석의 '자립 공급망 건설은 국가 안보다'라는 언급은 쌍순환전략이 경제관점을 넘어선 패권전략이라는 의도를 방증한다. 이 과정에서 대외정책으로 ▲중국내 외국기업에 대한 감시, ▲선진국은 호주 사례와 같이 미국 우방진영에 개별견제·보복 확대, ▲개도국의 경우는 유무선 네트워크·클라우드·데이터·금융부문 선점을 위한 디지털 일대일로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전세계적인 경기침체에도 2% 성장을 보인 중국경제가 올해에도 7.9.% 성장이 전망(WB)된다. 이에 내수시장 강화를 발판으로 국제무대에서의 영향력 강화가 계속될 것이라며, 이러한 중국의 반격에 주목해야 한다고 전경련은 촉구했다.
지난해 글로벌 ESG 투자자산 규모는 40조5000억달러(약 4경5000조원)까지 도달했다. [자료=전경련]
■ [Investment in ESG] ESG 평가등급 높으면 주가수익률도 높아
투자 의사결정 시 ESG 지표를 평가하는 세계적인 흐름이 코로나 이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ESG는 환경(Environment)·사회책임(Social)·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다. 기업의 재무성과 이외에 지속가능성을 보여주는 비재무적 성과도 주요 투자기준으로 평가한다는 뜻이다. 사회책임은 임직원 처우나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을 평가하며, 지배구조는 기업경영에서의 투명성을 의미한다.
글로벌 ESG 투자자산 규모는 지난해 40조5000억달러(약 4경5000조원)까지 도달하며 지속 증가해 왔다. 그동안 ESG투자는 윤리경영 관점의 의미 외의 수익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코로나19 타격으로 인한 위기상황에서 ESG 고(高)등급 기업이 수익 측면에서도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ESG 펀드 17개 중 14개가 1.8%~20.1%의 수익률을 보여 S&P500 평균수익률(1.2%)을 뛰어넘는 성과를 나타냈다. 코로나19 강타기간(2020년 1월~9월) 중 2660개사 주가수익률 분석 결과, ESG 평가등급이 높을수록 이에 비례해 높은 주가수익률을 기록했다.
■ [New Deal is Everywhere] 뉴딜정책, 그린·디지털 전환에 초점
올해 시행되는 전세계 코로나19 경제대책을 아우르는 공통적인 테마는 그린 및 디지털 뉴딜이다. EU의 경우 경제회복기금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제회복 및 복원력 강화 프로그램(Recovery and Resilience Facility)의 최소 37% 이상을 그린 연관 투자에, 20% 이상을 디지털 전환에 투자한다.
일본도 그린·디지털 기금이 포함된 2021년 경기부양책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스가 총리는 코로나19 이후의 경제구조 전환을 위해 그린산업 및 디지털화 촉진으로 성장 돌파구를 찾겠다는 계획을 강조했다.
미국 신정부의 파리협약 복귀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미국·유럽·일본을 중심으로 탈(脫)탄소, 친환경 정책이 강화될 전망이다. [자료=전경련]
■ [Environment is the New Economy] 탄소중립 참여 국제사회 광범위
올해는 신(新)기후체제(파리협정)가 출범하고 미국이 시의 적절히 파리협정에 복귀하면서 저탄소경제 전환의 변곡점이 마련될 전망이다. 미국·EU가 주도해 온 기후변화 어젠다에 최근 한중일이 모두 2050년까지의 탄소중립을 선언하는 등 국제사회의 참여도 광범위해졌다. 탄소중립선언은 한국과 일본은 지난해 10월, 중국은 이보다 앞선 지난해 9월부터 시작해 오는 2060년까지 달성하겠다는 일정을 표방했다.
프랑스, 독일, 영국 등 EU 주요 선도국은 탄소중립을 법제화하는 단계까지 나아가고 있다. 기업활동에 직격탄이 될 환경규제 또한 본격화될 전망으로, EU는 올해부터 플라스틱세를 시행하며 탄소국경세 도입도 예고했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 또한 저탄소 이행과 무역협정을 연계하는 정책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세계 최대자산운용사 블랙록은 지난해부터 석탄사용 매출이 25%가 넘는 기업의 채권, 주식 처분을 시작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바이든 정부의 정책이 전세계 주요국에 모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우리나라도 이에 대응해 국제기구에서의 일정역할을 위한 노력,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고려, 미·중 갈등 속 비슷한 환경에 노출된 중견국가(싱가포르, 호주 등)와의 연대 등에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디지털 세상을 읽는 미디어 ⓒ디지털머니 | 재배포할 때에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