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주공산' AI반도체] 10년 후 시장점유율 20%·인재 3000명 양성 목표 (상)

김정태 기자 승인 2020.10.13 01:30 의견 0
(자료=산업통상자원부)

[디지털머니=김정태 기자] 정부와 기업이 손잡고 오는 2030년까지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제2의 D램'으로 집중 육성한다. AI 반도체 시장은 아직 지배적 강자가 없는 초기 단계다. 

이 분야는 최근 4차 산업혁명, 비대면 경제 가속화에 따라 AI·데이터 생태계의 핵심 기반이이다. 특히 시스템반도체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기대를 한 몸에 받는다. 업계는 향후 범 국가적 대응 노력이 글로벌 주도권 경쟁의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전망했다.

■ 세계 시장점유율 목표, 2026년 10%·2030년 20%

정부는 지난 12일 경기도 성남시 제2판교에 있는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국무총리 주재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정부는 인공지능 강국 실현을 위한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 2.0)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이번 발전 전략은 ‘인공지능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으로 인공지능·종합반도체 강국 실현’을 비전으로 추진된다.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시장 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고급인재 3000명 양성을 위한 2대 추진전략과 6대 실행과제를 마련했다.

2대 추진 전략은 '퍼스트무버형 혁신 기술·인재 확보'와 '혁신성장형 산업 생태계 활성화'로 나뉜다. 세계 시장점유율 목표는 단계적으로 2026년 10%, 2030년 20%다.

정부 관계자는 "세계 최고의 반도체 제조 역량 등 우리의 강점을 기반으로 인공지능 반도체를 육성할 것"이라며 "세계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을 수립했다"고 전했다.

앞서 정부는 ‘인공지능(AI)’과 ‘시스템반도체’를 혁신성장 전략투자 분야로 지정했다. '시스템 반도체 비전과 전략'(2019년 4월), '인공지능 국가전략'(2019년 12월), '디지털 뉴딜'(2020년 7월) 등을 통해 지원 중이다.

(자료=정부 합동)

■ 서버, 모바일, 자동차, 가전 등 다양한 산업 융합

AI 반도체는 학습·추론 등 AI 서비스 구현에 필요한 대규모 연산을 높은 성능, 높은 전력효율로 실행하는 반도체를 말한다. 말하자면 인공지능의 핵심두뇌이다.

AI 반도체는 첨단 시스템반도체 분야에 속한다. 시스템반도체는 데이터의 ‘수집 → 전송 → 연산’ 등 전 과정에 활용된다. 이 때 AI 반도체는 데이터의 학습·추론 등 인공지능의 핵심 연산을 수행한다.

미래 반도체 신시장 주도권 확보, 디지털 뉴딜의 성공 등을 위해 필수적인 핵심 기술 분야이다. 이 기술은 서버, 모바일, 자동차, 가전 등 다양한 산업분야와 융합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시장은 아직 '불모지'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2030년까지 앞으로 10년간 6배 성장해 총 1179억달러(약 35조6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합동 발표에 따라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민·관 협력 추진체계인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전략회의'를 구성‧운영한다. AI 반도체 산업의 생태계 역량 강화를 위한 사전 포석이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메모리반도체 초(超)격차를 유지하고 인공지능 반도체 신(新)격차를 창출해 2030년 종합 반도체 강국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대형 R&D 및 인력양성 프로젝트, 디지털 뉴딜과 연계한 초기 수요창출 등 제반 정책과제들을 차질없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디지털 세상을 읽는 미디어 ⓒ디지털머니 | 재배포할 때에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