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댐' 5년 여정 첫발] ②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일자리 창출 기대도 커

김정태 기자 승인 2020.09.15 01:30 의견 0
 
데이터 댐 구상 예시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머니=김정태 기자] 정부의 '데이터 댐' 7대 핵심사업 중 '인공지능(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은 가장 고용 친화적인 프로젝트로 주목을 끈다. 당초 일자리 창출 전망치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15일 정부 각 부처에 따르면 '한국판 뉴딜'에서 발표된 이번 사업들의 2020년 추경 일자리 기대효과는 2만4000여명이었다. 하지만 사업 구상 초기부터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들이 직접 고용과 크라우드소싱 등으로 2만8000여명을 제안했다. 이에 추가적인 과제조정 등을 통한 전체적인 일자리 창출이 기대치를 훨씬 웃돌 것으로 추산된다.

■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에 2925억원 투입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은 '데이터 댐' 프로젝트의 가장 기초이자 핵심이다. AI 서비스 개발에 필수적인 AI 학습용 데이터를 대규모로 구축·개방하는 사업이다. 대량의 데이터 수집에서부터 가공·정제·품질검증 등 전 과정에 걸쳐 수많은 인력 공급이 예상되는 분야이기도 하다. 

앞서 정부는 최우선적으로 시장수요가 높은 과제를 발굴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민간수요 720개, 공공수요 531개, 해외 공개데이터 321개 등 총 1250개 후보과제에 대해 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통신사(SKT, KT), 포털사(네이버, 카카오) 등 활용기업 평가와 전문가로 구성된 과제기획위원회의 검증을 거쳤다. 이후 10대 분야 150종의 데이터를 선정했다. 유사한 데이터를 그룹화해 72개 그룹과제도 최종 도출했다.

특히 코로나19발(發) 일자리 위기 극복을 위해 청년, 경력단절여성, 장애인, 은퇴자 등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크라우드소싱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할 수 있도록 관련 예산 비중에 따른 가점제를 운영했다.

선정 심사에는 총 1920개 기업·기관(주관기관 278개, 참여기관 1642개)이 신청해 평균 4.2대1의 경쟁률을 보였다. 그 결과 총 584개 기업ㆍ기관(주관기관 72개, 참여기관 512개)이 최종 선정됐다.

주요 인공지능 개발 전문기업, 크라우드소싱 기업 등은 물론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 등 37개 대학산학협력단과 서울대병원, 국립암센터 등 21개 주요병원 등 분야별 전문기업·기관이 대거 참여했다.

한국어 말뭉치, 농작물 병해충 이미지, 암질환 영상 등 텍스트 7억건, 음성 6만시간, 이미지 6000만건, 영상 1만5000시간 등 대규모 데이터를 구축했다. 정부는 국내 AI 산업의 획기적인 도약의 초석을 놓을 것으로 낙관하고 있다.

■ AI 바우처 사업  기업당 최대 3억 등 총 560억원 배정

‘인공지능(AI) 바우처’를 지원 사업은 다양한 분야의 중소·벤처기업이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에 AI를 도입해 생산성 향상과 기업 경쟁력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기업당 최대 3억원 둥 총 560억원이 배정됐다.

이 사업은 AI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기업(수요기업)이 AI 솔루션·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공급기업)의 제품을 바우처를 통해 구매해 단기간내 최적의 인공지능을 도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인공지능 솔루션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중소기업에게는 새로운 시장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올해 처음 시작한 AI 바우처 사업은 상반기 모집(14개 과제)에 325개 기업이 지원해 24대 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다. 폭발적인 시장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하반기 560억원 규모로 추경사업을 통해 추가 모집을 진행했다. 모집 결과, 총 475개 과제에 733개 기업이 지원했으며 경쟁률은 2.4대1을 기록했다.

서류평가와 온라인 발표평가를 거쳐 반도체 개발부터, 창업, 치매예측, 투자분석, 수어번역, 법률, 대기오염 측정 등 17개 분야에서 최종 209개 과제(209개 수요기업, 155개 공급기업)가 선정됐다.

섬유 등 전통제조 분야를 비롯해 병원, 투자운용사, 관세·특허·법률, 패션기업 등 다양한 분야 기업들이 혁신적인 제품이나 서비스에 인공지능을 적용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AI를 도입이 필요한 중소·벤처기업들에게 맞춤형 기술을 공급해 디지털 전환을 촉진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인공지능 솔루션·서비스를 개발하는 중소기업의 성장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저작권자> 디지털 세상을 읽는 미디어 ⓒ디지털머니 | 재배포할 때에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