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럴링크 시연회에 참석한 일론 머스크. (자료=뉴럴링크 온라인 방송 캡쳐)
[디지털머니=김지성 기자] 전기차 테슬라로 인간의 이동수단의 혁신을 가져온 일론 머스크. 최근 화성 이주를 꿈꾸며 스페이스X를 통해 우주 탐험의 역사를 바꿔놓더니 이번에는 인간의 뇌 연구 성과를 공개했다.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Neuralink)가 지난 28일(현지시간) 샌프란시스코 본사에서 개최한 시연회에서 정수리에 모양 칩을 이식하고 두 달 동안 생활하고 있는 돼지 ‘거투르드’를 공개했다.
뉴럴링크는 일론 머스크가 투자한 기업으로 뇌와 기계가 직접 소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있다. 이날 행사에도 일론 머스크가 직접 나서 연구 성과를 공유했다.
■ 뉴럴링크는 어떤 기업?
뉴럴링크는 일런 머스크가 2016년 설립한 스타트업으로 뇌의 신경전달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화시켜 컴퓨터와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연구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인간의 뇌와 인공지능을 연결해 인간지능을 한층 강화하고자 한다.
뉴럴링크는 머스크의 1억달러(1200억원)을 포함해 모두 1억5800만 달러(1900억 원)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직원은 100명 정도다.
링크 0.9 (자료=뉴럴링크)
■ 링크 0.9
거투르드의 머리에 심어진 뉴럴링크의 칩은 ‘링크 0.9’로 불린다. 링크 0.9는 지름 23mm, 두께 8mm의 동전 모양으로 뇌파 신호를 수집하는 작은 전극으로 구성됐다.
링크 0.9는 돼지의 뇌파를 수집해 초당 10메가비트 속도로 무선 전송한다. 지난 해 공개했던 칩은 귀 뒤에 작은 모듈이 별도로 있었다. 하지만 이번엔 공개된 링크 0.9는 칩 속에 모두 합쳤다. 링크 0.9는 충전식 배터리로 작동한다. 독특한 것은 피부를 통해 무선으로 충전하는 방식이어서 코드 없이 충전이 가능하다.
이 장치는 뇌의 바깥쪽을 관통하는 1024개의 얇은 전극으로 뇌 세포와 통신을 한다. 링크 0.9와 외부 컴퓨터 장치는 블루투스를 이용해 연결된다.
뉴럴링크는 링크 0.9가 기존 다른 회사 제품에 비해 작고 저렴하며, 수술 시간도 훨씬 짧다는 점을 강조했다. 돼지를 마취하고 두개골을 열어 64개 회로를 뇌에 심고 다시 봉합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30분 안팎이다.
지난해 발표한 칩(왼쪽) 삽입 개념도와 28일 발표한 칩 삽입 개념도
■ 놀랍지만 아직
이날 시연회에선 거투르드가 냄새를 맡으며 코를 킁킁거릴 때 코에서 뇌로 전달되는 신호를 칩이 실시간으로 수집해 기록하는 장면을 보여줬다.
하지만 신경 활동의 변동이 실제로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컴퓨터와 돼지의 뇌가 유의미하게 통신하는 모습은 확인할 수 없었다.
머스크는 뉴럴링크를 창업하며 2020년까지 인간의 뇌에도 칩을 심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쥐와 원숭이 뇌에 1500개 전극을 심었을 뿐 아직 인간을 대상으로 한 칩 이식은 시도하지 않았다.
■ 초기단계지만 가능성은 무한대
이번에 시연된 기술이 더 안정화되면 향후 인간의 뇌나 척수 손상 또는 선천적 결함을 치료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청각, 촉각 등 감각이 마비된 환자나 퇴행성 질환자들이 다시 감각을 찾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인간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해주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머스크는 해당 기술이 핏빗, 애플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처럼 사람의 체온, 혈압, 움직임, 심장마비나 뇌졸중에 대해 경고 할 수 있는 데이터를 측정하고 전달하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뉴럴링크는 칩 이식 수술 전체를 자동으로 처리하도록 설계된 로봇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자동 로봇은 두피를 열고, 두개골의 일부를 제거하고, 컴퓨터 칩과 함께 수백 개의 전극을 삽입 한 다음 절개를 닫는 것이 자동화되는 것. 전신마취와 출혈 없이 1시간 이내에 뉴럴링크 기기 이식이 끝난다. 마치 인공 치아인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것과 같은 수준이 될 수 있다는 의미다.
<저작권자> 디지털 세상을 읽는 미디어 ⓒ디지털머니 | 재배포할 때에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