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대신하는 'AI 드론'의 진화..과기부, 드론 기술 개발에 5년간 480억원 투입

최인영 기자 승인 2020.04.28 15:23 의견 0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5G·AI 기술과 무인비행체를 결합한 새로운 드론 기술 개발에 5년간 총 480억원을 투입한다. (자료=픽사베이)

[디지털머니=최인영 기자] 앞으로는 실종자 수색이나 고층 건물 관리 등을 초고속 드론이 대신할 수 있게 된다. 무인비행체(드론)에 5G(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와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해 성능을 높였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드론을 이용한 혁신적 사업모델을 만들기 위해 ‘DNA+ 드론 기술 개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새로운 드론 서비스 개발에는 2024년까지 정부출연금 397억 5000만원을 포함한 총 4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드론에 5G 서비스·AI·빅데이터 등 첨단 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한다.

이 사업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을 포함한 3개 공공기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비롯한 3개 대학과 KT, LG유플러스 등 19개 기업이 참여한다.

참여기관은 향후 5년간 ▲폴리스 드론(실종자 수색·순찰) ▲수자원 드론(국지 홍수 및 수질 오염 감시) ▲스마트 팜드론(인공지능 정밀방제 및 생육관리) ▲구조물 드론(고층 구조물 관리) 등 총 4개의 서비스 모델을 개발해 실증까지 수행한다.

이를 위해 국토지리원의 위성·항공·공간 데이터를 연계해 빅데이터를 구축한다. 드론이 움직이는 물체를 인식하거나 추적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을 개발한다.

또한 항공안전기술원의 5G 드론 비행시험장과 통신사의 네트워크를 연계해 드론 실증을 위한 임무 관제 플랫폼도 구축한다.

첨단 드론은 드론 조종자가 볼 수 없는 비(非) 가시권 지역을 자율비행하면서 데이터를 수집한다. 수집한 데이터는 인공지능으로 분석해 최적의 해법을 도출한다.

서비스 모델별 맞춤형 인공지능 모듈과 이동객체 인식 기술 등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의 슈퍼컴 고성능 가속기 시스템으로 분석한다. 분석 모델은 드론에 적용한다.

과기정통부는 서비스 모델이 빠른 시일 내 상용화되도록 서비스 모델 간 경쟁형 실증을 도입한다. 수요기관의 참여를 높이고 관계 부처와 협의해 규제개선도 추진한다.

<저작권자> 디지털 세상을 읽는 미디어 ⓒ디지털머니 | 재배포할 때에는 출처를 표기해 주세요.